interview/Artist

문화의 틈으로 스며들다 : 올리버 그림_Interview

yoo8965 2015. 11. 14. 03:17


올리버 그림(oliver griem)은 독일에서 미디어 디자인을 전공하고 1995년부터 한국에서 시스템에 대한 풍자를 공연적 연출로 보여주는 설치, 영상, 미디어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지난 20여년 동안 그는 다른 문화권에서 새로운 미디어 작업을 통해 다른 문화권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고 있는데, 이러한 그의 작업 및 활동들은 작가 스스로가 미디어가 되어 문화적 간극을 이해하는 일종의 퍼포먼스적 형태를 보이고 있는 부분이 흥미롭다. 인터뷰를 통해 이러한 부분에 관한 질문을 던져보았다.



Q. 95년부터 한국에서 작품 활동을 시작하셨는데 어떤 계기로 시작하게 되었나요? 과거와 지금의 작품 활동은 어떤 점이 다른가요?

독일에서 대학원 졸업당시 졸업 작품으로 한국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만들었습니다. 그 영상을 보고 한국의 영상회사에서 일자리 제안이 왔습니다. 당시 독일의 반복적인 일상을 떠나고자 한국으로 왔습니다. 독일에서 만든 영상은 한국에서 틀 수 있는 코덱이 없고 당시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기계가 지금은 없는 경우가 많아 전시기록만 남아있습니다.

95년도와 지금을 비교하자면 처음 여기서 작업을 시작할 때는 영상작가들을 몇 명 찾아볼 수 없었는데 지금은 많아 졌습니다. 기술적으로도 발전해서 과거에는 구현하기 어려웠던 작업들을 쉽게 만들 수 있죠. 최근에는 실험적인 작업보다도 이벤트가 늘어난 것을 느낍니다. 미디어 파사드 같은 경우 몇 년 전에는 흥미롭다고 생각했지만 지금은 흔해졌고 건축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작가에게 의뢰를 할 때도 대중의 취향에 맞추어 요구해 작가의 작업을 하기는 힘듭니다. 최근 독일 베를린에서는 미디어 관련한 많은 일이 벌어진다고 합니다. 우선 사람이 사람을 불러들이고 있습니다. 과거 동베를린지역의 싼 집값 때문에 베를린으로 사람이 모이기 시작했죠. 석탄으로 난방을 해결하는 오래되고 싼 집들이 많이 있었어요. 지금은 그런 공간도 점점 없어지고 집세도 비싸지고 있지만 많은 이들이 모이는 힘이 되었습니다.



Parallel Worlds - observations in South Korea - documentary - 1995 from Oliver Griem on Vimeo.



Q. 한국생활이 작품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요?

 한국에 처음 왔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이 잘사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아파트에 살고 싶어 한다는 사실이 신기했어요. 유럽의 경우 아파트는 보통 가난하고 범죄율이 높은 지역인데 서울의 아파트촌은 부유함의 상징으로 완전히 반대의 문화입니다. 나는 당시 분당의 아파트에서 살고 있었지만 즐겁지 않았습니다. 고층 아파트는 살고 있는 동네와 단절된 공간인데다 내 집도 아니기 때문에 감정적인 연결점을 찾기 어려웠어요. 사회적으로도 회사의 구조를 이해하기 어려웠습니다. 직원들이 어떤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있어도 상사에게 말하지 못하고 상사의 결정에 따라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는 했어요. 개인의 소리가 작아지고 구조로 인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일들에 대한 답답함이 작품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도시개발에 관한 작업들도 여러 개 진행했습니다.



Royal Blue Real Estate - 로얄 블루 부동산 _ installation _ 2010



씨티 챕터에도 한국의 도시이미지가 많이 쓰였습니다. 이 작업은 이상적인 삶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을 담고 있어요. 작품에 쓰인 이미지들은 곳곳에서 따왔습니다. 아파트영상은 작업실 근처에서, 자연이 담긴 정원이미지는 지인의 집에서 찍었습니다. 그 중 굿소리가 나는 영상의 도시이미지는 2007년 인천디지털아트페어에서 만든 가짜 도시의 이미지를 담은 것입니다. 아파트, 정원의 이미지는 모두 보여주는데 치중한 쇼와 같아 느껴졌어요. 굿 역시 보여주는 쇼로서 테크노처럼 사람의 정신을 빼놓는 면이 시티챕터의 돌아가는 이미지들과 잘 부합해서 사용했습니다.



CityChapters from Oliver Griem on Vimeo.


Q. 시티챕터의 소리와 빛 이미지가 강렬한데 관객반응은 어떠했나요? 제작방식과 연출방식도 궁금합니다.

큰 소리와 빠르게 움직이는 영상에 무서워하거나 깜짝 놀라는 관객들도 있었습니다. 일단 관객들이 소리와 영상에 몰입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싶었고 영상이 공간을 타고 움직이게 하기 위해 무빙라이트 썼습니다. 2006년부터 2년 동안 있었던 연구소에서 무빙라이트를 실험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어요. 무빙라이트는 공간전체를 끌어안는 힘이 있습니다. 독일에서부터 진행해온 공연작업의 극적인 연출효과도 설치작업으로 이어왔습니다. 설치작업은 눈앞에서 바로 벌어지고 있다는 공연의 긴장감은 없지만 관객의 시선을 소리와 조명을 통해 공간의 다양한 방향으로 이끄는 공연적인 연출효과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시티챕터’를 좀 더 넓은 시민청에서 전시했을 때는 공간 전체를 돌아다니며 보는 동선을 만들었습니다.


City Chapters _ video _ moving mirrors _moving light _ mirrorball _ sound _ 2015



composition for moving lights 3 - 2011 from Oliver Griem on Vimeo.



Q. 종교적인 도상이나 제의 형식을 퍼포먼스 작업도 보입니다. 작업에서 종교적인 이미지는 어떤 의미인가요?

개인적으로 절대적인 신은 존재한다고 생각하지만 정형화된 종교의 형식에 따르지는 않습니다. 시스템화 되는 것은 위험한 부분이 있습니다. 이 작업들은 시스템을 풍자적으로 보여주는 작업들입니다. 게임스 전시의 작업들도 시스템에 대한 풍자와 같은데 지금의 내 관심사를 가장 잘 보여주고 있어요. 게임스에서는 3D 프린터로 전쟁의 단편적인 이미지들을 장난감처럼 만들어 전시했습니다. 프라모델 모형에서 착안한 작품으로 사람들은 전쟁의 난폭함을 이야기하면서도 왜 전쟁의 이미지를 장난감으로 만들고 좋아하는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했습니다. 3D 프린트로 만든 군인들을 무대 위에 놓듯이 나무판자에 놓고 전쟁 장면을 연출한 작업들은 북한남한의 전쟁, 미국과 아프가니스탄의 전쟁모습에서 소재를 잡았습니다. 아이처럼 모형으로 전쟁 장면을 연출하는 작업을 통해 전쟁이 일어나는 실제 세계와 대비되는 시스템의 아이러니를 느낍니다. 



Insadong Performance - mobile sermon - 2000 from Oliver Griem on Vimeo.


Insadong Performance _ street-performance _ 2000


Q. 앞으로의 작업계획은 어떻습니까?


집수정에서 했던 전시와 같이 공연과 같은 전시를 더 하고 싶습니다.


올리버그림 웹페이지 : www.fischkalb.com




인터뷰 취재 및 정리 :

서 현 (앨리스온 수습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