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주 3

뉴미디어아트와 이미지의 문제 III _김연주(예술학)_column

글.김연주(예술학) 3. 시뮬레이션의 특성 뉴 미디어 아트에서 이미지는 르네상스 이래의 다른 미술양식들에서와 마찬가지로 비매개성과 과매개성 즉 투명성(transparency)과 불투명성(opacity) 사이를 오간다. 미술사에서 비매개성 논리의 가장 대표적인 예는 원근법이다. 원근법을 통해 화가들은 미디어 즉 캔버스를 투명한 창과 같이 인식하도록 하였다. 비매개성을 성취하려는 바램은 다양한 방식과 도구들을 발명하게 했으며, 가상현실 시스템에까지 이르렀다. 이러한 바램은 뉴 미디어 아트의 가상현실 작품으로 성취될 것처럼 보인다. 미술사에서 비매개성의 논리가 주목을 받아온 것은 사실이지만 비매개성의 논리가 존재했던 만큼 과매개성의 논리도 존재했었다. 과매개성의 논리는 비매개성의 논리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미디..

column 2006.11.01

뉴미디어아트와 이미지의 문제 II _김연주(예술학)_column

글.김연주(예술학) 2. 포스트모더니즘을 넘어서 사진, 광고, 영화, 텔레비전 등의 등장은 대중들을 시각적 소비에 탐닉하도록 만들었다. 오직 이미지만이 중요해졌으며, 모든 것은 보는 것이 되었다. 조지 트라우(G. Trow)에 따르면 개인은 2억 개의 눈금 위의 한 점이 되었다. 이자 필립스, 「이미지의 세계: 시각예술과 미디어 문화」, 한인선 역,『21세기 문화 미리 보기』, 이영철, 백한울 편역, 시각과 언어, 1996, p. 200. 이와 같은 현상을 클림프(D. Crimp)는 1977년 이라는 전시 도록에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어느 때보다도 유례없이 우리의 경험은 그림, 신문이나 잡지, 텔레비전과 영화를 통한 그림들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직접적인 체험은 그림 다음으로 취급되어 쇠퇴하기 시작하고..

column 2006.10.01

뉴미디어아트와 이미지의 문제 I _김연주(예술학)_column

글.김연주(예술학) 뉴 미디어 아트는 예술의 어떤 장르에 속하는가? 뉴미디어 아트가 굳이 미술에 속해야 할 이유는 없다. 영화와 같이 새로운 하나의 장르를 구성해도 좋다. 그러나 만약 뉴 미디어 아트를 미술의 담론 안에 자리매김 하기 원한다면 탐구해야 할 근본적인 문제는 이미지라고 본다. 따라서 이미지를 시뮬라크르로 파악하고, 시뮬라크르의 산출 과정인 시뮬레이션의 두 가지 논리와 특성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글에서 보들리야르가 우리에게 던져준 시뮬라시옹이라는 용어 대신 철학에서도 미술이론에서도 사용하지 않는 시뮬레이션이란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문제가 되리라 생각한다. 그러나 공격의 위험을 안고서라도 시뮬라시옹이라는 용어를 피해 간 것은 지금까지 익숙해져 있는 개념에서 벗어나 조금 더 넓은 시각으로 이미..

column 2006.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