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미디어아트 전시

Black on White, Gray Ascending, 장영혜중공업, New Museum _exhibition review

yoo8965 2008. 1. 3. 00:33



뉴 뮤지엄(New Museum)이 금년 12월 1일 재개관에 맞추어 1층 오픈 갤러리에 장영혜중공업(Young-Hae Chang Heavy Industry)의 신작을 초청한 것은 오프닝 기획전 “Unmonumental: The Object in the 21th Century”와 조화를 이룬 적절한 선택이다. 기획전이 “오브제의 붕괴와 재구성”라는 개념 아래 미니멀리즘 이후 현재까지 문제시되어 온 예술적 정의들을 조각의 영역에서 다시 질의하기 위한 플랫폼이라면 장영혜중공업은 뉴 뮤지엄의 또 다른 지향점인 “디지털 아트의 활성화”에 부합하는 파일럿 프로그램이다. 테이트 모던과 이스탄불 비엔날레 등 세계 유수의 갤러리와 국제전시행사에서 넷 아트의 대표주자로 공인받은 이력은 뉴욕 노호(Noho)의 중심에서 현대예술의 신경향을 조망해 온 뉴 뮤지엄의 명성과 차별성 모두를 부각시키는데 안성맞춤이었던 셈이다. 이와 같은 기획의도에 호응하듯 신작 “Black on White, Gray Ascending”(2007)은 장영혜중공업 특유의 재기발랄한 유희적 즐거움을 잃지 않으면서 디지털 아트와 인접 현대예술의 네트워킹을 성취하는 또 다른 도약을 선보이고 있다.


장영혜중공업의 작품들은 넷 아트의 알고리즘을 일정 부분 거부하면서 디지털의 기법과 표현을 개념미술의 이념에 맞게 재정의해 왔다. 텍스트와 음악의 정교한 동기화(synchronization)를 엮어내는 플래시 애니메이션만이 이들이 의존하는 유일한 프로토콜이다. 이를 통해 장영혜중공업은 정보가 메시지로 변환되고 명멸하는 일련의 과정을 보여주면서 관람자가 넷 아트를 경험하는 방식에 대한 한 가지 대안을 제시해 왔다. 월드 와이드 웹과 멀티플 윈도우는 거부되고 마우스에 기반한 인터랙티브 인터페이스는 제공되지 않는다. 넷 아트는 선형적 시퀀스 위에서 자유로이 변주되는 텍스트-이미지 결합체의 시청각적 경험으로 대체된다. 텍스트의 운동감과 재즈/보사노바 스코어의 리듬감이 어우러지면서 정치적 슬로건과 편집증적 몽상의 내러티브가 펼쳐진다. 어떤 형태의 실사 이미지나 그래픽도 제시하지 않으면서도 이들의 작품이 “영화적”인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 (이는 이들이 영화 크레디트 시퀀스를 작품 도입부에 고수해 온 이유이기도 하다). 그러나 각 작품 속 내레이터들의 목소리들은 결코 일관적이지 않다. 모노크롬을 연상시키는 텅 빈 모니터는 메시지의 분열성과 파편성과 덧없음에 알맞을 뿐, 신뢰할 만한 독해의 고정점을 증발시켜버린다. 그러기에 이들의 작품에서 섬광처럼 작렬하는 사회비판적 슬로건과 히스테리적 코드들은 자기비판적인 잔여를 끊임없이 남긴다. 그러면서도 세계에 대한 비평적 개입은 중단되지 않고 (루프를 통해) 오히려 반복된다. 




“Black and White, Gray Ascending”은 바로 이러한 생산품들의 연장선상에 있다. 7개의 스크린에 변환된 플래시 애니메이션이 야오(Yao)라는 가상 캐릭터의 납치와 살해에 대한 내러티브를 펼쳐놓는다. 각각의 스크린에는 모노크롬 화면의 휴지부를 단위로 7개의 에피소드가 분배된다. 따라서 총 49개의 단편들이 11분 36초의 지속시간을 주기로 순환 반복된다. 어떤 스크린은 납치를 실행하는 캐릭터들의 대화를, 다른 스크린은 사건을 목격한 이웃의 증언을, 또 다른 스크린은 사건을 배후조종하는 권력의 목소리를 시각화한다. 정보 감시사회에 편재한 익명의 시선과 비가시적인 작동 체계에 대한 이 음모론적인 픽션은 이들 특유의 모던 재즈와 보사노바 트랙을 타고 분산된다. 흑백 이미지 트랙의 동시성과 분산성을 조율하는 이 스코어 트랙은 필름느와르부터 사이버펑크 소설과 영화에 이르는 편집증적인 분위기를 전달하는데 더없이 효과적이다. 물론 이 분위기는 결코 현대적 주체에 어울리지 않는다. 각각의 스크린은 철저하게 구획되어 있으며 자신만의 이야기를 선형적으로 전개한다. 이 스크린들이 일직선으로 분배될 때 관람자의 시선은 복잡화될 뿐, 그것들에 인과론적 진실성을 부여하는 주체성의 자리는 전시 플로어의 어디에도 없다. 각각의 스크린은 서로 다른 시공간적 지속을 가지며, 이야기의 담론적인 층위 또한 직접적인 목격에서 생방송 뉴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동일한 지속시간을 두고 끊임없이 통과하고 반복되는 시청각적 데이터의 흐름 오직 그것뿐이다. 수수께끼를 더하는 암호적인 상투구(“베싸메 무초”)와 신뢰할 수 없는 화자의 목소리(“내가 지금 뭐하고 있지?”)가 이야기의 다성성(polyphony)을 배가한다.




이 전시를 기획한 큐레이터 로렌 코넬(Lauren Cornell)이 말하듯 이 작품에서 구로사와 아키라의 <라쇼몽(Rashomon)>을 떠올리는 것은 어렵지 않다. 하나의 사건이 복수적인 인물의 시점에서 서술되고, 이들을 유일한 진실에 정박시키는 사실적 정보나 초월적 화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비선형적 서사를 다채널 스크린에 분배하고 이를 관람자의 현전과 경쟁시키는 전략은, 비록 현대영화가 그 선구자라 할지라도 현대영화의 단일 스크린과 선형적인 상영시간을 넘어선다. 장영혜중공업이 시도한 최초의 멀티스크린 설치작업은 오늘날 여러 갤러리들에서 목격할 수 있는 다채널 비디오 설치작품, 그 중에서도 내러티브의 선형성을 붕괴시키거나 분산시키는 내러티브 실험 지향의 작품들과 나란히 놓인다. 그런 점에서 이 작품은 2007년 초 뉴욕현대미술관(MOMA)의 외벽에 상영되었던 더그 에이켄(Doug Aikten)의 8채널 인스톨레이션 <슬립워커(Sleepwalker)>에 대한 뉴 뮤지엄의 화답으로 읽힐 수도 있다. 에이켄의 작품이 다섯 뉴요커들의 어느 하루에 동시적으로 펼쳐지는 일상에 대한 일종의 도시 교향악(Cicy Symphony)라면,
“Black and White, Gray Ascending”은 사적 자아와 공적 자아의 경계가 구조적으로 와해된 가상적 정보도시에 대한 차가운, 그러나 매혹적인 우화다. 이 우화가 싱글 채널의 모니터에서 멀티채널 스크린으로, 웹 인터페이스에서 갤러리의 조명 아래로 이행할 때 이 작품은 오늘날의 예술이 시도하고 있는 복잡하고도 흥미로운 시간적 실험들의 한 경향에 합류한다. 관람자의 시간은 작품의 지속시간과 협상하고, 스크린으로써 공간화된 시간의 다차원성은 작품의 지속시간 속으로 수렴된다. 이러한 내러티브 시간성이 개념주의 미술의 전통과는 다른 형태의 시각화 전략, 미니멀한 텍스트-이미지 몽타주 이외의 다른 알고리즘과 만날 때 장영혜중공업의 후속작업은 더욱 흥미로운 버전을 보여줄 것이다.


01234


글. 김지훈(jihoonfelix@gmail.com)


김지훈(jihoonfelix@gmail.com)은 영화평론가로 활동했으며 2004-5년 서울영화제(SeNef) 프로그래머를 역임했다.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영화이론 석사를 받은 후 현재 뉴욕대학교 영화연구(Cinema Studies) 박사과정에서 현대영화와 미디어아트가 시간성의 문제들에 참여하는 방식에 대한 논문작업을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