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

사진의 철학을 위하여, Vilem Flusser_book review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사진의 철학을 위하여, Vilem Flusser, 윤종석 역, 커뮤니케이션 북스, 1999 제 1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혼란스러운 시대에 유태인으로 태어난 빌렘 플루서는 두 번의 망명을 경험하게 된다. 이후 그는 평생 학문의 길을 걸으면서, 미디어와 테크놀로지에 의한 인간문화의 패러다임의 교체에 대해 연구한다. 따라서 [사진의 철학을 위하여]가 사진이 담고 있는 철학에 대해 단일한 테제로서 다루기보다는 '매체, 기술을 통한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 인간의 자유는 어디에 있는가?'에 관련한 질문을 제기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인 점은 플루서의 삶 자체를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기계속의 생명, Claus Emmeche_book review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기계속의 생명, Claus Emmeche, 오은아 역, 이제이북스, 2004 인공생명이란 표현은 아직까지도 우리에게 다분히 미래적이고 비현실적인 어감으로 다가온다. 물론 유전자조작을 통해 변형된 비정상적인 크기와 색깔의 식물들, 복제양 돌리에 대한 뉴스와 황우석 박사의 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연이은 보도, 그리고 인간복제에 대한 윤리적인 문제에 대해 벌이는 논쟁들은 인공생명이라는 주제가 더 이상 공상과학영화나 소설에서나 다루어질 문제는 아니란 사실을 자각하게 한다.

전자음악의 이해, 황성호_book review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전자음악의 이해, 황성호, 현대음악출판사, 2000 사랑과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가 거품에서 태어나 처음 신전에 올라갔을 때, 모든 신들이 그 아름다움에 홀려 아내로 취하고 싶어했다. 그러나 제우스는 아프로디테를 절름발이 아들 헤파이스토스와 짝지어 주었고, 가장 아름다운 여신은 결국 가장 못생긴 대장장이 신과 결혼을 하게 되었다. 농경 시대의 최고 기술자인 대장장이와 최고의 아름다움을 가진 여신의 아이러니한 만남은 예술과 기술의 만남으로 해석되기도 하는데, 이는 예술과 기술의 독특한 상보 관계를 적절히 표현해 주는 해석인 것 같다.

소멸의 미학, Paul Virilio_book review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큰 화면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소멸의 미학, Paul Virilio, 김경온 역,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 폴 비릴리오는 기술 사회의 이면을 점검해보며 이의 토대를 인간에게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는 '피크노랩시'와 연관시킨다. 피크노랩시란 '자주 일어나는 신경발작'이란 말로 저자는 이를 병적 증상이 아닌 인간에게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기억 부재증'으로 보고 있다. 인간이 본 것과 보지 않은 것 사이에서 동시에 존재하면서도 부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저자는 기술 장치의 '속도'에서 발견해낸다.

디지털 시대의 파워엘리트, John Brockman_book review

디지털 시대의 파워엘리트, John Brockman, 임세윤 역, 황금가지, 1999 지상에는 분명 이른바 파워 엘리트가 있다. 현대인은 바쁘다. 생각할 시간이 없다. 아니 달리 말하면 오락산업은 현대인이 스스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빼앗아 버렸다. 우리는 골치 아픈 사고는 타인에게 맡기고 그 시간을 기꺼이 텔레비젼 앞에서 웃고, 울면서 보낸다. 지식인과 일반 대중 사이의 관계는 산업사회에 접어들면서 새롭게 재편되었는데, 지식인은 대중의 사유능력을 위임(?)받고, 사고를 대신해준다. * 이미지 상단 Enlarge 버튼을 클릭하시면 큰 화면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하이퍼미디어시대의 인문학, 김성도_book review

하이퍼미디어시대의 인문학, 김성도, 생각의나무, 2003 이 책은 저자와 세계의 지성들간의 대담으로 구성되어 있다. 움베르트 에코와의 대담은 공항으로 향하는 자동차 안에서 이루어졌으며 레비와의 대담은 이메일의 도움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간주곡(intermezzo)이라는 제목이 붙여진 미셀 세르의 강연록은 그가 세르로부터 직접 건네받은 것이다. 저자는 각기 다른 방법으로 접한 지성들과의 대담을 디지털미디어 혹은 하이퍼키디어 시대의 인문학의 역할이라는 태제를 중심으로 엮어 나갔으며 대담록의 중요성에 대해서 에피스테올로지로 설명하고 있다. * 이미지 상단의 Enlarge 버튼을 클릭하시면 큰 화면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가상현실의 철학적 의미, Michael Heim _book review

가상현실의 철학적 의미, Michael Heim, 여명숙 역, 책세상, 1997 이 책은 마이클 하임의 [가상현실의 형이상학]을 번역한 것으로서 디지털에서 VR로 가는 과정을 기술하고 있다. 책의 도입부 및 전반부에서는 존재론적 전환에 관한 증거를 제시하며, 디지털 컴퓨터를 놓고 전개되는 우리의 일상적인 활동이 어떻게 우리의 읽기와 정보 탐색을 규정하는가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에게 주어진 실재를 변화시키는 기술과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디지털 이전의 실재가 갖고 있는 더 나은 측면들을 우리가 어떻게 보존할 것인지에 대해 몇 가지 제안을 한다. * 이미지 상단 Enlarge 버튼을 클릭하시면 큰 화면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매체철학의 이해, 매체철학연구회 _book review

매체철학의 이해, 매체철학연구회, 인간사랑, 2005 [매체철학의 이해]는 '매체'를 인간이 세계 및 사회를 인식하는 매개이자, 인간들 상호 간의 관계를 형성하는 체계라고 전제하고, 이를 인식론적, 존재론적 지평으로 확장해서 분석하고자 하는 시도들이다. 개별연구자들의 연구관점과 주제가 다양하기에 선행연구의 장이 마련되었음에도, 그 과정이 오히려 매체철학의 이해를 다소간 어렵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

기술철학 La Philosophie de la Technique, Jean-Yves Goffi _book review

기술철학 La Philosophie de la Technique, Jean-Yves Goffi, 황수영 역, 한길사, 2003 신체를 유지시켜야하는 강제성에 얽매여서 생물학적 인간의 동물성을 표현하기 때문에 기술은 저속하다. 또한 "조작의 성공이 조작을 정당화한다"는 기술자의 신조는 기술자를 상대적으로 열등한 존재로 여기기에 충분하다. 마법처럼 기술은 사람들을 근심스럽게 한다. 기술은 프로메테우스적인 방식 또는 파우스트적인 방식으로 우주의 질서를 바꾸어 놓는다. * 이미지 상단 Enlarge 버튼을 클릭하시면 큰 화면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백남준, 비디오 예술의 미학과 기술을 찾아서, Edith Decker _book review

백남준, 비디오 예술의 미학과 기술을 찾아서, Edith Decker, 김정용 역, 도서출판 궁리, 2001 작가는 이렇듯 비디오가 전통적인 예술의 속성과는 거리가 멀다고 보고 있다. 일시적이고 또한 개인의 필적을 알아보기 힘든 비디오는 복제의 용이성 덕분에 또 한번 주춤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비디오 예술은 현대 예술분야에서 당당히 자신의 위치를 자리매김하고 있다. 작가는 이러한 비디오 예술의 주도적인 역할을 한 백남준을 중심으로 그의 비디오 설치 및 비디오 테이프 작업들을 살펴보고, 이를 실증주의적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목록화한다.